-
MBTI 성향 N 직관적 성향 VS S 감각적 성향 비교해서 알아보기MBTI 심리 유형 2023. 9. 19. 14:52반응형
N 직관적 사람들의 주요 특징
N직관적인 성향의 사람들의 주요 특징은 자신만의 감각, 예감을 통해 세상에 바라보는 것과 같다.
직관형 사람들이 주목받고 믿는 것은 상황에 가능성과 다양한 상황에서의 의미이다.
N 성향의 사람들은 자신을 통찰에 주의를 기울이며 숨겨진 의미나 관계들을 추구한다.
직관형들은 미래를 선호하며 그들은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정보를 받아들일 때 가상적으로 받아들이며, 영감이 넘치는 동시에 대략적인 기준을 잡아 사용하기도 한다.
S 감각적 사람들의 주요 특징
S감각적 사람들의 주요특징은 오감을 통해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연관 있는 성향이다.
감각형들은 실제적이며 유용한 정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감각형들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동시에 정확한 기준을 사용하여 정보를 받아 들인다.
숲처럼 커다란 것을 바라보지 못하고 그 숲에 속한 나무만 볼 줄 아는 것이 감각형들의 경우이다.
N 직관형 VS S 감각형 일반적인 특징
나는 직관형 처럼 행동하는가? 나는 감각형처럼 행동하는가?
반짝 생각이 드는 영감을 사용한다
직접 관찰하고 직접 체험해 본다기본적인 개념을 통해서 새로운 것들을 습득한다. 모방과 관찰을 통해 새롭게 습득한 사실을 배운다 남들과 다르고 특별한 성취에 가치를 두며 영감을 통해
습득하고 배운다
구체적이고, 뚜렷한 성취를 가치롭게 여기며, 스텝을 밟아가며 익숙해 진다.직접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에 가치를 두지 않고. 가능성과 추리에 초점을 가지고 있다. 상상력을 발휘하여 얻은 정보에 가치를 두지 않고, 실제적인 경험을 더욱 중시한다 상상력이 풍부한 행동을 해본다 현실과 가까운 실제적인 행동을 해본다 영감과 통찰을 통한 노력으로 창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노력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창조적인 것을 접하게 될 수 있다. N 직관형 의사소통 특징
N직관형 의사소통의 특징은 자신의 통찰에 관심을 두며 사람, 상황 혹은 어떤 생각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들을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사실이나 구체적인 상황들에 대해 타인과 함께 소통하여 변화를 이끌어 나가는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않는다.
S 감각형 의사소통 특징
S 감각형 의사소통의 특징은 현실에 존재하고 있는 것에 중점을 맞추며, 실제로 벌어지는 사실과 실용적인 것들에 대해서는 더욱 편하게 의사소통을 한다. 이론적인 것을 대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N 직관형 인간관계 유형 특징
N직관형 인간관계의 유형 특징은 자신의 친구에 대해 추상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그 친구를 조금 더욱 풍성하고 이성적 이론적 접근하기를 좋아한다.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쏟지 않는다.
특히 두 사람 관계에 대해 모든 것들에 대한 그들의 이론에 부적합한 경우 더욱 그러한 성향이 두드려 진다.
S 감각형 인간관계 유형 특징
S 감각형 인간관계의 유형 특징은 자신과 관계 맺는 친구 등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와 함께 자신과 친구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들은 친구들에 대해 실제적인 정보를 알고 있으며, 자신의 친구나 지인들을 아주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N 직관형 작업유형 특징
N 직관형 작업유형의 특징은 새로운 물품이나 상품, 서비스들을 생산하고 제공하는 작업환경을 선호한다.
미래의 생산 욕구를 채우기 위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작업 환경을 더욱 원한다.
S 감각형 작업유형 특징
S 감각형 작업유형의 특징은 일반적이고 실제적으로 실용적인 물품을 만들어 내는 작업환경을 선호한다.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조직을 구성하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과 사물과 자료를 함께 신중하게 작업하고 감각 선호 경향을 사용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좋아한다.
N 직관적 VS S 감각적 에너지 방향 초점
N 직관적 S 감각적 육감, 예감 오감 있을 법한것들 선호 현실적인것 이론적 실제적인 것 미래 가능성 지향적 현재 지향성 통찰 사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 원래의 기술을 사용 도약 단계 감각이나 직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되지 않는다면, 선호경향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면, 최근 몇 주 간에
나는 어떤 종류의 정보를 탐색했는지 내가 어떤 것에 관심을 기울이는지 생각해 보자.
당신의 감각을 통해 어떤 것이 직접적이게 인식되는 정보들을 받아들이는지 혹은 당신의 직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수집하는지를 알아보자
그러면 더욱 명확하게 N 직관적 성향과 S 감각적 성향을 구분해 낼 수 있다.
'MBTI 심리 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향 J판단형 성향 VS P인식형 성향 비교해서 알아보기 (37) 2023.09.20 MBTI 성향 T사고형성향 VS F감정형성향 비교해서 알아보기 (1) 2023.09.20 MBTI 성향 E 외향적 성향 VS I 내향적 성향 비교해서 알아보기 (0) 2023.09.19 MBTI 유형 알아보기 ENTJ 특징 유형- 지도자형 (1) 2023.09.18 MBTI 유형 알아보기 ENTP 특징 유형- 발명가형 (0) 2023.09.18